워드프레스를 로컬 호스트에 설치하는 이유
워드프레스(wordpress.org)는 다운로드받아 서버에에 설치하는 형태이기 때문에, 실제 사이트는 웹호스팅/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내 컴퓨터에 우선 설치하여 테스트한 후 라이브 사이트에 옮길 수 있습니다.
이렇게 하면, 내 컴퓨터에서 테마나 플러그인을 이것저것 사용해보고, 테스트, 수정 등을 거쳐 실제 사이트에는 최종 선택한 테마, 플러그인만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어 좋습니다. (테스트 및 개발 용도)
또한, 런칭한 후에도 테마, 플러그인 업데이트나 사이트를 재단장할 때, 로컬 컴퓨터에 설치해놓은 워드프레스에서 먼저 테스트 해보고 충돌이나 스타일이 망가지는 부분이 없는지 확인 후 라이브 사이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.
단점
1. 설치과정이 비교적 간단하지만, 뭘 설치한다는 자체가 스트레스인 사람도 있습니다. (아, 뭘 또 깔아…)
2. 로컬컴퓨터에서 만든 사이트를 나중에 옮기는 과정을 한 번 거쳐야 하니 귀찮을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워드프레스를 본격적으로 사용하려면 설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 내 컴퓨터에 워드프레스 사용 환경 만들려면 (로컬 서버 셋업) Apache, MySQL, PHP를 설치해서 개발환경을 만들어줘야 하는데, 이를 한 번에 해결해주는 프로그램 중 하나만 설치하면 됩니다. Apache, MySQL, PHP 원리 몰라도 그냥 그림보고 따라하면 됩니다.
MAMP/WAMP
윈도우에서 설치방법 by wpbeginner: https://www.wpbeginner.com/wp-tutorials/how-to-install-wordpress-on-your-windows-computer-using-wamp/
맥에서 설치방법 by wpbeginner: https://www.wpbeginner.com/wp-tutorials/how-to-install-wordpress-locally-on-mac-using-mamp/
영어이긴한데 정리가 잘 되어 있고 그림만 보고 따라해도 무방.
Bitnami MAMP/WAMP Stack
Bitnami MAMP/WAMP Stack은 Apache, MySQL, PHP에 추가로 워드프레스까지 한 방에 설치해주는 기능을 무료로 제공합니다. (세상 간편) 세부적인 부분 신경 안 쓰고 한 방에 끝내고 싶으면 Bitnami 추천.
공식사이트: https://bitnami.com/stack/wordpress/installer
여기서 자신의 운영체제(Window/Mac OS)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해 설치. (리눅스 사용자는 자동설치같은 거 안하겠지...)
그 밖에...
http://ampps.com/download (원클릭으로 워드프레스 설치 및 업데이트 기능 포함)
https://www.apachefriends.org/index.html
등 많지만 딱 워드프레스만 쓸거면 이렇게까지 필요없고 제일 위 두개 추천.
+ 나중에 로컬에서 만든 사이트를 라이브 사이트에 옮길 때 유용한 플러그인, Duplicator
https://en-ca.wordpress.org/plugins/duplicator/
사이트 개발이 끝난 후 이를 옮길 때 사용하는 인기 플러그인입니다. 사이트 복제 뿐만 아니라 백업 용도로도 유용해,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습니다.
* 단, 무료버전에서는 멀티사이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. (유료버전에서는 가능)
'디자인을 위한 코딩 > 워드프레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 블로그, 워드프레스(Wordpress)로 만들면 좋을까? (3) | 2020.10.10 |
---|